Min IT's Devlog

[정처기] 23년 2차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본문

자격증/정보처리기사(완료)

[정처기] 23년 2차 정보처리기사 필기 후기

egovici 2023. 5. 14. 19:28

23년 5월 13일에 시행된 정보처리기사 필기를 치고 왔다. 그 후기를 작성해보고자 한다.

 

시험 결과는 각 과목별  85 95 90 100 100 으로 확정 점수는 아니지만 총 94점으로 합격했다. 전공자이긴 하지만 코딩을 못하는 입장에서 학과공부만큼은 열심히 했고 운이 좋아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시험동기

요즘에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도 하고 학교 선배님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보지도 않는다고 그러긴 했지만 내가 내세울 만한 프로젝트나 이런 것이 현재 부재하기 때문에 내가 제일 잘 할 수 있는 자격증 시험이라도 보고자 했다.

 

시험준비

< 참고한 자료 >

시험준비는  길벗출판사에서 나오는 시나공 필기 교재를 사용했으며 이것외에 돌아다니면서 틈틈히 기출을 풀어보기 위해서 틈틈봇-정보처리기사라는 앱을 사용하였다.

 

2023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www.gilbut.co.kr

 

틈틈봇-정보처리기사 (잠금화면에서 기출문제 자동학습) - Google Play 앱

폰을 켤 때마다 자동으로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시험 기출문제 하나씩 공부하기!

play.google.com

 

시나공 교재는 생각보다 내용이 자세하게 나와있고 각 단원별 중요도가 잘 나와있어 덜 중요한 부분과 시험에 자주 나오는 부분에 대한 분류가 쉬워서 좋았다. 또한 시험에 나온 부분에 대해 어떤 것이 나왔는지 알려주고 바로바로 문제에 대입해볼 수 있어서 공부하는데 좋았던 것 같다.

 

다만 내용이 너무 세세하고 많아서 시험 준비 기간이 1 ~ 2주정도 밖에 안되는 경우 A,B만 보면 되긴 하지만 그러기엔 살짝 책값이 아까운 것 같기도 한 느낌이랄까..

 

 

<준비한 기간>

나는 준비기간을 2달 정도로 잡고 공부했으나 시험기간이 있기도 했고 시험이 끝나고 바로 몸살로 인해 추가로 1주는 더 날렸기 때문에 실질적인 공부 기간은 3주 정도로 잡은 것 같다. 3주 중 2주 이상을 교재를 가지고 공부하는데 사용했는데 이는 교재가 200단원이 넘기도 했고 생각보다 내가 전공자임에도 알지 못했던 지식들이 많아서 그랬던 것 같다. 

 

 

<공부 방법>

기존의 방법처럼 각각의 단원을 공부하고 뒤에 나오는 문제에 바로 적용해서 푸는 방식으로 공부를 했으며 시험에 자주 나오는 개념에 대해서는 축약어로 외우려 많이 노력했다. 나는 교재의 분류인 A,B,C,D를 모두 다 공부해갔으나 내 체감상 출제빈도 C까지는 나오는 것 같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고 틈틈히 앱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기출문제를 돌려본 것도 시험 준비에 큰 도움이 된 것 같다.

 

 

<공부하는데 어려웠던 단원>

정보처리기사 시험에 여러 용어들이 나오고 다이어그램에도 정말 많은 종류가 있는데 이러한 것을 외우는 것은 시간만 들이면 되니까 크게 문제가 없었는데 오히려 특징에 대해 문제가 나오는 것이 까다로웠던 것 같다. 내가 해당 내용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지 못하면 오묘하게 맞는 것처럼 서술해놓은 문제들이 많아서 특징쪽을 묻는 문제가 어려웠다.

 

전공자의 시각에서 본 과목별 특징

1단원: 소프트웨어 설계 

=> 전공자라면 소프트웨어공학의 내용 그대로 나오는 부분으로 애자일 방법론과 UML, 아키텍쳐, 인터페이스, 미들웨어가 주요한 내용으로 해당 주제들은 시험문제에 모두 나온 만큼 매우 중요한 단원이었다. 
=> 암기량만 많은 것이지 어렵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건 없었다.

암기량: ★★★★☆
난이도: ★★☆☆☆


2단원: 소프트웨어 개발
=> 자료구조, 모듈 테스트, 소프트웨어 패키징, 테스트가 주요한 내용으로 소프트웨어공학 과목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소프트웨어 패키징 부분에서는 순서가 나오고 테스트에 대해서는 각 테스트의 특징과 언제 하는지 어떤 것이 있는지 등이 중요하다.
=> 인터페이스 부분의 경우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그렇게 까지 중요한 부분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암기량: ★★★☆☆
난이도: ★★★☆☆


3단원: 데이터베이스 구축
=>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단원으로 기존에 DB 수업을 들었다면 비교적 수월하게 지나갈 수 있는 단원이다. 사실 이 단원은 나올 만한 것이 제약조건, 관계대수(해석), 정규화, 트랜잭션, DDL/DML/DCL로 거의 정해져 있어서 오히려 공부하기 쉬웠던 부분이었다. 
=> 문제는 조금 더 공부한다면 암기량이 확 많아지긴 하지만 중요한 부분만 공부한다면 충분히 넘어갈 수 있을 것이다. 암기량이 많다고 하면 많고 적다고 하면 적은데 DB를 한번이라도 다뤄보거나 수업을 들었다면 빠르게 넘어갈 수 있는 부분이다.

암기량: ★★☆☆☆
난이도: ★★★☆☆



4단원: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 C, Java, Python의 각 언어별 특징과 문법 그리고 운영체제와 메모리, 프로세스 스케줄, 네트워크 부분이 복합적으로 나오는 부분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필요한 단원이다. 만약에 프로그래밍, 운영체제, 네트워크중 2개 이상에 관하여 알지 못한다면 생각보다 시간이 많이 걸릴 것이라 본다.


암기량: ★★★★☆
난이도: ★★★★☆



5단원: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과 신기술파트, 보안과 DB와 관련된 추가적인 내용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신기술파트를 제외하고는 다 맞추는 것이 마음 편할 것이다. 생각보다 신기술 파트 문제가 체감상 40%이상 나왔는데 자신이 신기술을 맞출 자신이 없다면 그 이외 부분에 대해서 공부를 잘 해가야 한다.

암기량: ★★★★☆
난이도: ★★☆☆☆

 

시험

<절차>

시험 시간 전 1시간정도 일찍 갔는데 딱 입실시간(8:40)에 시험보는 장소로 들여보내주었다. 시험보는 곳을 제공하는 곳에서 시험을 보는 것이기 때문에 감독관이 방송을 틀어주고 신분증 확인과 컴퓨터를 통해 여러 안내사항을 전달했다. 시험 보기전에 연습지를 나누어주는데 이는 퇴실할 때 제출해야 한다. 시험시간은 2시간 30분이지만 CBT로 시험을 치기 때문에 시험을 보고 제출하면 점수가 바로 나오면 확인하고 바로 퇴실하면 된다.

 

필요한 준비물은 필기도구와 신분증 정도? 수험표는 자신이 어디서 시험보는지 정확하게 알면 필요없지만 혹시모르니 수험번호정도는 알아두는 게 좋을 것 같다.

 

 

<사람>

아침이어서 그런건지 한 시험실에 시험을 보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특이한 것은 한 시험실 내에서 모두가 정보처리기사 시험을 보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국가시험도 같이 섞여서 보는 것 같았다. 따라서 나이가 드신 분도 계셨고 나처럼 학생들도 있었다.

 

 

<기타사항>

시험을 CBT로 시험을 보는데 시험 보기전 어떻게 답안을 체크하는지 연습도 해보기 때문에 크게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생각보다 시간이 매우 여유있기 때문에 천천히 자신의 페이스대로 풀어나가면 문제 없을 것이다. 나또한 30분 안되서 풀었고 검토를 해도 총 1시간정도 걸렸기 때문에 매우 여유있었다.

 

 

<시험>

1. 문제은행에서 출제하는 식이기 때문에 생각보다 기출에서 출제가 정말 많이 되었다.

=> 기출만 여러 번 돌려서 잘 이해해서 공부하면 책도 필요없을 정도?

2. 간혹 기출에서 보지 못하던 문제가 종종 나오긴 하지만 모르면 찍으면 되나 갑자기 뜬금없는 문제가 아니라 ABCD를 모두 공부했으면 거기서 살짝 벗어난 이야기이기 때문에 충분히 생각하면 다 맞출 수 있다. 나는 최대한 내가 공부한 범위 내에서 생각해보려고 했고 4,5단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다 맞출 수 있었다.

3. CBT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시험문제가 다 달라 다른 사람에게도 적용되는지 모르겠는데 나같은 경우에는 답의 위치가 정말 재미있었는데 기출 문제의 경우 객관식 답안의 순서를 이런 식으로 ①1②2③3④4   => ①2②3③1④4 바꿔서 내는데 원래 정답이 1이었는데 해당 정답을 부자연스럽게 문제에 내는 경우가 5문제는 되었던 것 같다.

 

 

사실 무단복제 및 전제를 금지한다고 해서 정확한 문제를 이야기하기는 어렵기도 하고 CBT라서 사람마다 문제가 다 다르게 나오기 때문에 무슨 의미가 있나 싶긴 하지만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기출이라면 기출문제를 이야기하고 공개되지 않은 문제라면 개념만 조금 언급해보고자 한다. 시험본지 하루가 넘어서 얼마나 생각날지는 모르겠지만..ㅎㅎ

<출제된 개념>

1과목

1. 스크럼 개발 프로세스

2. XP 특징

3. 자료 흐름도 구성요소(기출-data flow/...)

4. HIPO특징(기출- 하향식)

5. 유스케이스

6. Integrity

7. Message(기출)

8. (is a part of)(기출)

9. 럼바우 모델링 종류

10. 결합도 순서

11. Fan-In, Fan-Out

12. GoF의 디자인 패턴 유형( 생성, 구조, 행위)

13. 요구사항 검증 방법(워크스루 기출)

14. TP-Monitor

( 기억이 안남 )

 

2과목

1. LinkedList 특징

2. 스택과 Queue의 사용처

3. 트리의 운행

4. 이진검색트리 특징

5. DRM

6. 설치 매뉴얼, 사용자 메뉴얼(?)

7.소프트웨어 형상 관리

8. 정적테스트

9. 블랙박스 테스트

10. 단위 테스트

11. 베타 테스트

12. 테스트 오라클 종류

( 기억이 안남 )

 

3과목

1. 카디널리티

2. ER다이어그램보고 무슨 관계인지

3. 다중값 속성(기출)

4. 릴레이션에 대한 설명(기출)

5. 후보키

6. 개체 무결성

7. 관계대수, 관계해석 특징

8. 정규화 과정

9. 카탈로그

10. 파티셔닝

11. 해시 분할

12. ACID

13. 트랜잭션 상태

14. 인덱스

15. 분산데이터베이스 목표

16. DB 이중화? 고가용성?

17. DDL, DCL, DML  종류

18. Table만드는 권한 부여하는  SQL

19. Group by, having절을 포함한 SQL 특징

20. UNION vs UNION ALL

( 기억이 왜곡된 것이 있을 수 있음)

 

4과목

1. Java의 변수명 규칙

2. 산술연산자 순서를 고려한 계산

3. C언어의 비트 연산자

4. Python조건문(기출)

5. do while문 결과

6. print함수 내에서 서식 문자열 잘못된 사용법

7. C언어 피보자치 수열 range(,,)를 이용한 계산(기출)

8. java 반복문 계산(기출)

9. C언어 while문 i의 증가(기출)

10. 삼항 연산자로 바꾸기(기출)

11. 'A'+1을 %d로 출력하면?(기출)

12. 4|7의 결과(기출)

13. Class

14. Java에서 숫자를 0으로 나누었을 때의 예외처리

15.기억장치의 배치 전략

16. 페이지 부재 횟수

17. Locality

18.IPv4 IPv6 특징과 차이

19. TCP해더

( 기억이 왜곡된 것이 있을 수 있음)

 

5과목

1. ACL 특징

2. RSA

3. CASE 도구

4. 델파이 기법

5.COCOMO

6.CMMI

7. 테일러링

8. SDN

9. 네트워크 구조

10. L2,3,4,7스위치를 포함한 네트워크 장비

11. 메타버스

12. TCP wrapper

13. honeypot
14. 고가용성 솔루션

15. M DISK

16. 하둡 내의 MapReduce 특징

17. 데이터 마이닝

18. 코드 오류처럼 보안에 위협이 되는 원인들 중 하나

19. Land

( 기억이 왜곡된 것이 있을 수 있음)

 

과목 생각 안남

1. IDE

 

 

워낙 틈틈히 기출문제를 많이 풀어봤고 시험에 기출문제가 워낙 많이 나와서 이게 나왔는지 저게 나왔는지 헷갈리고 CBT라 참고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ㅎㅎ

Comments